2025.04.14 (월)

  • 흐림동두천 0.8℃
  • 구름많음강릉 5.7℃
  • 흐림서울 2.9℃
  • 구름조금대전 4.7℃
  • 맑음대구 3.8℃
  • 맑음울산 5.0℃
  • 광주 6.8℃
  • 구름많음부산 7.2℃
  • 흐림고창 7.2℃
  • 제주 10.5℃
  • 구름조금강화 1.6℃
  • 구름조금보은 -0.2℃
  • 흐림금산 5.0℃
  • 흐림강진군 5.2℃
  • 맑음경주시 1.7℃
  • 흐림거제 6.3℃
기상청 제공

전국

'환경교육도시 부산'을 통해 시민 삶의 지속가능성을 촉진한다

기후위기 대응, 탄소중립 사회를 앞당기는 마을 기반·지역특화 환경교육
지역 대학 역할 제고 필요성 등 반영한 종합계획 수립

 

부산시가 올해부터 2025년까지 기후위기,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앞당기는 실천적 환경교육 추진을 골자로 하는 ‘제3차 환경교육종합계획’(이하 제3차 계획)을 발표했다. 

 

부산시는 ‘제3차 국가 환경교육종합계획’과 연계성 속에 ‘시민 삶의 지속가능성을 촉진하는 환경교육도시 부산’을 비전으로 5개 영역, 41개 세부 추진과제를 마련했다. 

 

이번 제3차 계획 수립에는 부산시교육청, 부산환경교육네트워크, 지역 전문가들이 참여했으며, 지난 제2차 종합계획의 성과를 평가하고 지역 환경교육 실태 분석을 토대로 향후 5년간의 환경교육의 추진 방향과 과제를 설정했다. 

 

앞으로 시민들이 부산 전역에서 환경교육을 받을 수 있는 온-오프라인의 환경교육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환경교육 수요자와 공급자가 만나는 환경교육 플랫폼을 구축하고, 비대면 환경교육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온라인 환경학습 지원 스튜디오를 마련한다. 

 

또, 폐교를 활용한 부산환경체험교육관을 조성하여 시민․학생들이 글로벌한 환경 이슈를 보고 체험할 수 있는 스마트 교육환경을 조성하는 등 환경교육도시의 면모를 갖춰가는 데 초점을 뒀다. 
 
평생교육 개념의 생애주기별 환경교육과 기후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마을 단위·지역특화 환경교육도 추진한다. 

 

늘어나는 환경교육 수요에 대비한 사회환경교육지도사 양성, 마을 단위 환경교육을 위한 기초환경교육센터 지정․운영, 지역특화․생애주기별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 프로그램의 질적 제고를 위한 우수 환경교육프로그램 확대, 아파트단지 환경학습공동체 지원, 지역 환경 현안 해결을 위한 리빙랩 프로젝트를 중점 추진한다.

 

부산시교육청에서도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학교 환경교육 활성화에 적극 참여할 계획이다. 제3차 계획을 통해 환경교육 연구학교 운영, 학교 관리자 및 교사대상의 환경교육 연수, 환경교과 운영 컨설팅, 교사․학생 환경동아리 운영, 교사실천단 운영, 환경교육 전공교사의 채용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우리 시는 지난해 환경교육을 통해 지역 구성원이 함께 환경 현안을 해결해 나가는 모범적인 지자체로 전국 최초, 환경교육도시로 지정되었다”라며 “오는 2025년까지 제3차 계획 이행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부산시는 올해 이미 지역에 특화된 환경교육을 전담하는 마을 단위 교육센터인 기초환경교육센터 5곳 지정을 시작으로 제3차 계획 이행에 들어갔다.


포토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