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는 지난 23일 오전 9시 시청 소회의실에서 박형준 시장 주재로 「제46차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열고, 부산시일자리위원회 위원, 시의원, 전문가, 기업 대표 등과 함께 '부산형 시니어 일자리 활성화 대책'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인구 고령화, 근로희망 연령 상승, 높은 노인 빈곤율 등으로 장노년층 일자리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특히 장노년 인구 비율이 높은 부산이 앞장서 지역 주도로 시니어 일자리를 활성화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코자 마련됐다.
이날 회의에서 시는 참가자들의 다양한 의견 수렴을 통해 3대 전략 16개 사업으로 구성된 '부산형 시니어 일자리 활성화 대책'을 마련하고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부산형 시니어 일자리 생태계 구축 ▲민간기업 시니어 고용 활성화 ▲사회적 가치 제고 공공일자리 창출을 전략으로 세워 추진한다.
2030년까지 시 60세 이상 고용률을 45%까지 제고하고 시 시니어 일자리 창출 인원을 13만 명 이상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시니어 일자리 예산도 올해 2천800억 원에서 내년에는 3천160억 원으로 늘리고 2030년에는 5천억 원 수준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첫 번째로, 부산이 선도하는 지역 맞춤형 시니어 일자리 생태계를 구축한다.
부산형 시니어 일자리 통합 지원체계를 가동하고, 시 주도로 지역 시니어 일자리 지원기관과의 협력과 소통을 강화한다.
두 번째로, 기업 고용 활성화로 시니어를 당당한 경제활동의 주역으로 견인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시니어 근로자 채용 시 기업에 인건비, 운영비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생활권 중심 일자리를 창출하며, 장노년층 취업 알선 기능도 내실화한다.
세 번째로, 복지와 사회적 가치를 함께 높일 수 있는 더 나은 공공일자리를 만들고 규모를 확대한다.
장노년 공공일자리를 늘려 장노년 근로를 촉진하고 복지 향상을 지원하며 특히, 사회적 가치가 높은 일자리를 확대해 나간다.
박형준 시장은 “장노년의 축적된 경험과 지식은 사회의 소중한 자산으로 지역 성장의 새로운 원동력이 될 수 있다”라며, “시니어 일자리 활성화 정책을 통해 우리 부산의 장노년층이 부산 발전의 새로운 견인차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