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는 인구 감소와 인구구조 변화에 전방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인구변화대응 TF'의 구성을 완료하고, 지난 30일 오전 10시 시청 7층 회의실에서 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시 행정부시장 주재로 주요 인구정책 추진 관련 실‧국장과 부산연구원 등 관련 기관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시는 인구감소 지속, 인구구조 불균형 가속 등 인구변화가 야기할 복잡·다양한 문제에 다각도로 대응하며, 출생률 감소 완화와 부서 칸막이를 넘는 통합형 인구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인구정책 컨트롤타워인 '인구변화대응 TF'를 본격적으로 가동한다.
‘인구변화대응 TF’는 시 행정부시장을 단장으로 3개 반(총괄‧지원반, 사업추진반, 연구‧자문반) 5개 분과(저출생 대응, 청년유출 대응, 고령사회 대응, 생활인구 대응, 외국인 대응)로 구성해, ▲인구변화 대응 전략 추진상황 점검 ▲인구정책평가를 통한 재구조화 ▲시민 체감형 인구정책 발굴을 중점 추진한다.
TF 구성 후 처음으로 열린 이날 회의에서는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을 중심으로 지난 9월 10일 발표한 '부산 인구변화 대응전략'의 주요 핵심과제의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관련 사업이 내실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향후 계획을 논의했다.
‘부산 인구변화 대응전략’은 ▲인구감소 핵심요인 극복을 위한 정책을 집중적으로 추진해 위기 심화 속도를 ‘완화’하고 ▲인구 위기가 중장기적으로 야기할 파급 문제에 적극 ‘대응’하는 데 목표를 둔 전략과제를 추진한다.
대응전략의 주요 과제는 ▲임신‧출산 지원 확대 ▲양육 부담 완화 ▲출산‧육아친화 문화 선도 ▲맞춤형 주택 공급 ▲청년 소득·문화 격차 해소 ▲시니어 일자리 확충 ▲기업투자 패키지 지원 ▲외국인 정착 지원 등으로, 분야별 세부추진계획에 따라 예산 확보 절차를 거쳐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시는 '부산 인구변화 대응전략' 발표(9.10.) 이후, ▲유학생 유치지원 전담조직 구성(9월) ▲하하(HAHA) 365 프로젝트 발표(10월) ▲장노년(시니어) 일자리 활성화 대책 발표(10월)에 이어 지역맞춤형 외국인정책 포럼 개최(11월), 주거혁신대책(11월), 빈집정비대책(11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기본계획 수립(12월) 등 과제별 정책을 구체화해 순차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은 “인구문제는 출산, 주거, 일자리 등 어느 한 분야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시정 전 분야가 하나의 톱니바퀴처럼 맞물려서 시너지를 내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야 한다”라며, 부서 간 협업체계 구축과 시민 참여형 전달체계 개선을 당부하고, 다음 2차 회의에서 인구정책 재구조화를 통한 사업 재설계 방향을 논의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