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4 (화)

  • 맑음동두천 -10.8℃
  • 맑음강릉 -7.0℃
  • 맑음서울 -8.9℃
  • 대전 -6.8℃
  • 맑음대구 -4.5℃
  • 맑음울산 -4.2℃
  • 광주 -3.7℃
  • 맑음부산 -3.7℃
  • 구름많음고창 -4.8℃
  • 제주 1.2℃
  • 맑음강화 -9.8℃
  • 맑음보은 -7.8℃
  • 구름많음금산 -6.3℃
  • 구름많음강진군 -2.4℃
  • 맑음경주시 -4.6℃
  • 맑음거제 -2.5℃
기상청 제공

전국

헌정사상 처음 현직 윤대통령 법정 구속 …"증거인멸 염려"

'국헌문란 목적 폭동' 혐의 소명 판단…사안 중대성도 고려한 듯
증거인멸 혐의 농후, 법정구속
법정서 직접 '통치행위' 주장했지만 법원 설득 실패
체포기간 포함 최대 20일 구속…열흘 조사 뒤 검찰에 사건 이첩

헌정 사상 처음으로 현직대통령인 윤석열 대통령이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19일 구속됐다.

'12·3 비상계엄 사태' 발생 47일 만이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체포된 지 나흘 만이다.

서울서부지법 차은경 부장판사는 전날 내란 우두머리 및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를 받는 윤 대통령에 대해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한 뒤 이날 "피의자가 증거를 인멸할 염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윤 대통령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공모해 지난달 3일 위헌·위법한 비상계엄을 선포하는 등 국헌 문란을 목적으로 폭동을 일으킨 혐의를 받는다.

 

전시·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의 징후 등이 없었는데도 위헌·위법한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국회의 정치활동까지 금지하는 불법적인 계엄 포고령을 발령하고, 계엄군과 경찰을 동원해 국회를 봉쇄하고 비상계엄 해제 의결을 방해했다는 것이 혐의 요지다.

 

형법상 내란 우두머리 혐의는 최대 사형에 처할 수 있는 중범죄에 해당하는 만큼 범죄의 중대성이 크고, 윤 대통령 지시를 받아 계엄에 가담한 혐의로 김 전 장관 등 10명이 모두 구속기소된 점도 발부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법원은 공수처 주장대로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전후해 휴대전화를 교체하고 메신저 앱인 텔레그램을 탈퇴한 점 등에서 증거인멸 염려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공수처는 윤 대통령이 세 차례 조사를 위한 출석 요구에 불응하자 서부지법에서 체포영장을 발부받았고, 두 차례 시도 끝에 지난 15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체포했다.

 

윤 대통령은 체포 당일 공수처로 이송돼 10시간 40분간 첫 조사를 받았지만, "비상계엄은 대통령의 통치 행위로 사법 심사의 대상이 아니다"라는 취지의 발언만 한 채 검사의 질문엔 아무런 답을 하지 않았다.

 

이후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에 구금된 윤 대통령은 공수처의 추가 출석 요구를 거부하며 나오지 않았다.

공수처는 더 이상의 조사가 무의미하다고 보고 지난 17일 구속영장을 청구했고, 이날 발부받았다.

 

만일 윤 대통령이 구속이 부당하다며 법원에 구속적부심사를 청구한다면 그 시기는 뒤로 더 밀릴 수 있다.

공수처는 윤 대통령이 구속된 후 입장문을 내고 "향후 법과 절차에 따라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포토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