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2대 총선 양산시을에서 2085표 차 석패 이후,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위원장은 패장보다 기획자에 가까운 표정으로 인터뷰 자리에 앉았다.
그는 “정치 평가는 짧게, 과제는 길게”라고 말을 열었다. 테이블 위 메모지에는 ‘일원화·속도·체감’ 세 단어가 분명하게 적혀 있었다. 의도는 초기부터 선명했다. 느슨한 협의가 아닌 ‘법정 연합’으로 메가거버넌스를 복원하겠다는 것
.
총선 평가에 대해 그는 “윤석열 정권을 심판하고 민생·민주주의를 복원하자는 민심이 분명했다”고 말했다. 다만 “경남의 성적표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고 자평하면서도 “창원에서의 첫 승리, 김해 양구 수성은 값진 성과”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지역 정가의 관심이 차기 행보로 쏠리자 그는 곧바로 화제를 돌렸다. “인구소멸이 눈앞이다. 권역 단위 초광역 협력이 없으면 도시는 버티기 어렵다. 그래서 특별연합이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부울경특별연합을 “규모의 경제를 행정이 만들어 주는 플랫폼”이라고 규정했다. 교통·교육·의료·주거·데이터·경제 규제를 한 테이블에서 조정하고, 예산과 집행을 일원화해 속도를 높이는 구조가 핵심이라고 했다.
과거 추진 과정에서 불거진 사무 배분·컨트롤타워 논란을 의식한 듯 “초기 설계부터 투명하게 재정비하겠다”는 말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그는 “연합이 움직이면 생활이 달라져야 한다. 출퇴근 시간, 병원 접근성, 청년 교육기회 같은 지표로 체감도를 곧바로 보여주겠다”고 덧붙였다.
박완수 경남지사가 추진 중인 ‘부울경경제동맹’과의 차이를 묻는 질문이 나오자 어조는 단단해졌다. 그는 “경제동맹은 협의체여서 사업별 이견이 생기면 쉽게 멈춘다”고 선을 그었다.
반면 “특별연합은 법적 지위와 재정 권한을 갖춘 실행조직”이라며 “초광역철도, 물류·항만·공항, R&D, 연합캠퍼스 같은 굵직한 의제를 동시에 밀어붙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메가시티는 간판이 아니라 운영체계”라는 짧은 문장이 뒤를 받쳤다.
정치적 동력과 중앙정부 협조를 묻는 질문에는 계산된 답변이 돌아왔다. 그는 “부울경·경남의 민주당 당선인들과 원팀으로 특별연합 부활을 공동 과제로 올리겠다”며 “국회에서 법률 보완과 예산 연계를 병행하고, 중앙정부에는 인구소멸 대응과 국가균형발전 원칙을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총선 민심을 “연대하라는 명령”으로 해석하며 입법·예산을 통한 추진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재가동 로드맵은 선도 과제로 압축됐다. 그는 “광역교통망, 연합캠퍼스, 통합의료체계, 데이터 센터를 1순위로 올리겠다”며 “조직 설계와 예산 프레임을 다시 짜고 시민참여형 의사결정 구조를 도입하겠다”고 했다. 초기 성과를 공개해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취지로 읽힌다.
양산 석패의 소회를 묻는 말에는 길게 답하지 않았다. “선거는 끝났고, 일상이 남았다. 현장에서 해법을 만들겠다.” 그는 양산을 “부울경 생활권의 교차점”으로 지칭하며 산업지도 전환, 청년 유입, 생활 SOC 확충을 특별연합 틀로 다시 연결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인터뷰 내내 그는 ‘속도’와 ‘일원화’를 거듭 강조했다. 말이 빨라질 때마다 메모지를 두드리며 핵심어를 확인하는 제스처가 이어졌다. 그는 “부울경특별연합은 정치 구호가 아니라 인구소멸 시대를 건너는 생존 전략”이라며 “경남부터 다시 세우겠다”고 못박았다. 인터뷰 말미, 메모에는 ‘운영체계의 복원, 체감 성과의 공개’가 적혔다. 그의 향후 행보는 이 두 문장으로 평가될 전망이다.








